올해 2025년 하반기, 정부는 침체된 민생 경제를 회복하고 지역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민생복지 지원금’, 정식 명칭으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소득 및 지역 요건에 따라 최소 15만 원부터 최대 55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카드나 상품권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민생복지 지원금 신청 방법부터 대상, 금액, 사용처, 주의사항까지 하나씩 자세히 안내드릴게요.
1.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지원 대상은 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한 성인입니다. 단, 미성년자라도 세대주인 경우 대리 신청이 가능해요. 지급 금액은 소득 구간 및 복지 대상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대상 | 기본 지원금 | 추가 지급 | 최대 수령액 |
일반 국민 | 15만 원 | +10만 원 (소득 상위 10% 제외 시) | 최대 25만 원 |
차상위·한부모 | 30만 원 | +10만 원 | 최대 40만 원 |
기초수급자 | 40만 원 | +10만 원 | 최대 50만 원 |
추가 지역지원 (농어촌 등) | +3만~5만 원 | – | 최대 55만 원 가능 |
2. 신청 기간, 신청방법 및 사용처
신청기간
1차 신청 기간은 2025년 7월 21일(월) 오전 9시부터 9월 12일(금) 오후 6시까지입니다. 신청 첫 주에는 주민등록상 출생연도 끝자리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끝자리가 1, 6이면 월요일, 2, 7이면 화요일 순서로 신청 가능해요. 이후에는 요일제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요. 추가 신청(2차)은 9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24시간 가능)
- 카드 충전 방식 :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신청 (삼성카드, 국민카드 등)
- 지역사랑상품권 앱 : 지자체별 앱(예: 서울페이, 경기지역화폐, 대구행복페이 등)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으로 신청
오프라인 신청
- 지류 상품권 / 선불카드: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에서 직접 방문 신청
- 카드 충전형: 카드사 제휴 은행 영업점에서 가능
찾아가는 서비스
- 고령자나 장애인 등 거동이 어려운 분들은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를 통해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각 지자체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사용처
민생복지 지원금은 2025년 11월 30일까지 사용 가능하며, 지역 내 사용에 제한이 있어요.
- 특별시/광역시는 해당 시 전역에서 사용 가능
- 도 단위 시·군은 주민등록상 ‘시’ 또는 ‘군’ 내에서만 사용 가능
- 사용 가능 업종은 주로 소상공인 매장으로 제한되며, 다음과 같은 곳에서 쓸 수 있어요:동네 마트, 전통시장 (해당 지자체 내 등록된 소상공인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대형 프랜차이즈나 백화점에서는 불가합니다.) 미용실, 학원, 음식점 등
- 사용 불가 업종에는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배달 앱, 프랜차이즈 직영점, 유흥업소등이 포함됩니다.
3. 신청 전 꼭 알아둘 사항
- 신청 기준일은 2025년 6월 18일 기준 주민등록지입니다. (그러므로 실제 거주지와 달라도 등록 주소 기준 앱 또는 카드사에서 신청해야 합니다.)
- 신청 시에는 **본인 인증 수단(카드, 공인인증서 등)**이 필요해요.
- 신청 후 하루 이내 자동 충전되며, 기존 카드 잔액보다 우선 사용됩니다.
- 카드사 변경은 가능하지만, 상품권 → 카드 방식 전환은 불가능해요.
다시 정리하자면 :
- 지급 대상: 전국 성인, 미성년 세대주 포함
- 신청 방법: 온라인(카드/상품권) 또는 오프라인(주민센터, 은행)
- 신청 일정: 7월 21일 ~ 9월 12일 (1차), 9월 22일 ~ 10월 31일 (2차)
- 최대 수령액: 소득 및 지역에 따라 최대 55만 원
-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
저는 코로나19 때도 지원금을 받아 식료품을 사기도 하고 외식을 하기도 해서 유용하게 썼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번 2025년 민생복지지원금(소비쿠폰)도 실질적인 체감 복지를 제공하는 제도인 것 같습니다. 지원금은 신청 기한이 지나면 받을 수 없으니 반드시 기간 내에 챙기시고, 본인 상황에 맞는 카드·상품권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비 절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앱테크 추천 TOP10 | 월 10만원 버는 앱 총정리 (3) | 2025.08.21 |
---|---|
2025년 호캉스, 싸게 즐기는 꿀팁과 서울과 경기권 가성비 호텔 추천 (2) | 2025.08.18 |
2025 여름철 전기 요금 아끼는 꿀팁과 지원 제도 (0) | 2025.07.12 |
기후 동행 카드 - 서울.수도권 교통비 절약의 아이콘 (2) | 2025.06.29 |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총정리 (지원금 금액.신청방법.혜택 안내) (0) | 202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