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아끼는 꿀팁! (여름철 폭염에도 전기세 걱정 줄이기)
올여름, 전기요금 걱정되시죠? 특히 여름철 폭염이 계속되면 에어컨, 선풍기, 냉장고 등 전기제품 사용이 급증하면서 전기요금도 자연스럽게 높아지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알아두면 전기세를 확 줄일 수 있는 꿀팁들이 있다는 사실! 한국전력, 산업통상자원부, 다양한 언론 보도 등을 참고하여, 실제로 도움이 되는 전기요금 절약 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누진제 구간 피하기 전략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전기요금 누진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일정 구간 이상 전기를 사용하면 요금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여 가전제품의 사용 시간을 분산시키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되겠지요.
사용량 구간 (월) | 1kWh당 단가 (원) | 구간 설명 |
1단계 0~200kWh | 93.3원 | 기본 요금 저렴, 일반 1~2인 가구 |
2단계 201~400kWh | 187.9원 | 일반 3~4인 가구 |
3단계 401kWh 이상 | 280.6원 | 전력 소비가 많은 다가구 또는 냉방·난방 집중 사용 시 해당 |
- 한전 앱을 다운받아 가입하면 실시간 사용량을 알 수 있습니다.
- 정부는 매년 여름철 전기요금 누진구간을 한시적으로 완화합니다. (보통 7~8월) 예: 1단계 0~200kWh 에서 0~300kWh로 (이를 통해 일반 가구도 일정 수준의 요금 절감 가능)
2. 에어컨 설정은 '26도 + 제습 모드'
서울신문, YTN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에어컨의 최적 설정온도는 26도로 하고 냉방보다는 제습모드 활용하면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에어컨 필터를 청소하면 냉방 효율이 10~15%이 증가한다는 한국에너지공단의 설명도 있습니다.
3. 플러그는 뽑아야 제맛 ! 대기전력 차단
JTBC 보도에 따르면, 대기전력만으로도 한 달에 최대 5,000원 이상 낭비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셋톱박스, 전자레인지, 충전기, TV 등은 꺼져 있어도 전기를 소모합니다. 그러므로 멀티탭을 사용하여 전원을 한꺼번에 차단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4. 냉장고는 꽉 차게, 뒷면은 깨끗하게
냉장고는 내용물을 적당히 채워야 냉기 유지에 도움이 되고, 너무 비워져 있으면 오히려 냉기 손실이 큽니다. 또한 냉장고 뒷면의 먼지를 정기적으로 청소하면 전기 소모량이 최대 20%까지 절감된다는 전문가 의견도 있습니다.
여름철 전기요금 지원 제도 요약
요즘같이 폭염이 계속되는 여름철에는 냉방기기 사용으로 전기요금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죠. 이런 상황을 고려해 정부는 취약계층과 저소득층을 위한 전기요금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래에 주요 지원 제도들을 정리해 드릴게요..
1. 에너지바우처 제도 (여름 냉방 바우처 포함)
- 지원 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에너지 취약계층
- 지원 내용 : 여름철(7~9월)에 냉방용 에너지바우처 1~2만원 상당 지원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등으로 자동 차감)
- 신청 방법 :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bokjiro.go.kr)에서 신청
- 신청 기간 : 매년 5~9월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
2. 한전 전기요금 감면 제도
- 감면 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독립유공자, 국가보훈대상자, 대가족(5인 이상), 출산가구(6세 미만 영아 포함)
- 감면 내용 : 월 최대 1만 6천 원까지 전기요금 할인, 여름철(7~8월)에는 할인 한도 상향
- 신청 방법 : 한전 고객센터(☎123) 또는 온라인(한전 사이버지점)
3. 폭염 대비 냉방비 특별 지원 (지자체별 운영)
-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임시 냉방비 지원
- 일부 시·군·구에서는 노인, 장애인, 영유아 가정 등에 별도 냉방비를 지원
- 신청 방법 :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 문의
4. 복지시설 전기요금 감면
- 대상 : 노인요양시설, 아동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 등
- 내용 : 전기요금 일부 감면 혜택 부여
- 신청 : 한전 또는 해당 지자체를 통해 시설 등록
마무리하며
오늘 소개한 팁들을 잘 기억해 두셨다가, 전기사용을 효율적으로, 똑똑하게 관리하여, 시원한 여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또한 "에너지바우처", "전기요금 감면", "여름철 누진제 완화"라는 키워드로 복지로·한전 사이트에서 확인하시면 가장 정확하고 빠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정부 24 앱이나 지자체 복지앱에서도 신청 또는 안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